Programming 24

[Python] 문장 / 표현식 / 키워드 / 식별자 / 주석

1 문장 1.1 문장이란? - 실행할 수 있는 코드의 최소 단위 - sentence의 개념이 아닌 statement라고 함 1.2 null statement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엔터를 쳐도 다음줄로 넘어가는데, 이것을 null 문장이라고 함 2 표현식 (expression) -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 - 숫자, 문자열, 수식 등 3 키워드 3.1 키워드란?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로, 이미 파이썬에서 사용을 위해 예약해 놓은 단어 (예약어라고도 함) 3.2 키워드를 구분해야 하는 이유 사용자가 이름을 선언할 때 이미 등록되어 있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되기 때문 3.3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키워드 True False None and as assert break class continue def ..

Programming/Python 2023.03.27

[기본 개념] 식별자 표기법

1 파스칼 표기법 (Pascal Case) - 단어를 붙여 사용하는 경우, 모든 단어의 앞글자를 대문자로 표기 - 함수 식별자와 클래스 식별자 표기법으로 많이 사용 ex) PascalCase, CherryCoke 2 카멜 표기법 (Camel Case) - 맨 처음 문자를 제외하고 단어의 첫 문자들을 대문자로 표기 - 변수 식별자와 함수 식별자 표기법으로 많이 사용 ex) camelCase, cherryCoke 3 스네이크 표기법 (Snake Case) 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어 표기 ex) snake_case 4 헝가리안 표기법 (Hungarian Notation) 자료형을 접두어로 붙여서 표기 ex) inNotation

Programming/기초 2023.03.27

[Python] 숫자

1 숫자 1.1 정수(integer) 소수점이 없는 숫자 예시 1) print(type(30)) 실행 결과 : 예시 2) print(type(0)) 실행 결과 : 1.2 실수(부동 소수점, floating point) 소수점이 있는 숫자 예시 1) print(type(32.124)) 실행 결과 : 예시 2) print(type(0.0)) 실행 결과 : 1.3 지수 예제 1) 0.23457e6 실행 결과 : 23.457 예제 2) 0.23457e-6 실행 결과 : 0.0023457 2 숫자 연산자 2.1 사칙 연산자 연산자 설명 구문 + 덧셈 연산자 숫자 + 숫자 - 뺄셈 연산자 숫자 - 숫자 * 곱셈 연산자 숫자 * 숫자 / 나눗셈 연산자 숫자 / 숫자 2.2 정수 나누기 연산자 (몫 연산자) 예시 1)..

Programming/Python 2023.03.22

[기본 개념] REST(FUL) API

1 REST API 1.1 REST API란? a. HTTP 통신(frontend-server)에서 사용되는 말 b.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: 상태를 주고 받는 것 c.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: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법 d. 결론 : HTTP 통신에서 쓰이는 자원을 주고받는 방법 너무 어려워서 계속 찾아봤는데 단지 HTTP 통신을 어떻게 할 것인지 규정한 방법인 것 같다. 1.2 REST API의 필요성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요청을 했는지 서버가 손쉽게 파악 및 대응이 가능하고, 다른 개발자의 눈으로 보아도 역시 한눈에 파악가능하기 때문 1.3 RESTFUL API란? -ful이 붙은대로 해석하면 됨. 완전 잘 만든 REST API..

Programming/기초 2023.03.20

[JS] 2주 학습 톺아보기 - 기본 정리

1 시작하기 1.1 태그 생성 ♬ 나의 인생 영화 영화 등록하기 ♬ 버튼을 누르면 hey()를 출력해라라고 명령을 내림 2 기본 문법 2.1 console.log 나의 인생 영화 영화 등록하기 ♬ console.log를 입력했을 때는 콘솔창에 값이 출력됨 예제 1) 실행 결과 : 7 예제 2) 실행 결과 : 김치우동 예제 3) 실행 결과 : 참치 예제 4) 실행 결과 : 4 예제 5) 실행 결과 : 짱구 예제 6) 실행 결과 : 짱구 2.2 JQuery 연습 - 함수, 반복문, 조건문 2.2.1 시작하기 2.2.2 함수 자바스크립트 문법 연습하기! 1. 함수 결과 확인하기! 2. 리스트 테스트 ♬ JQuery에서는 'id'를 사용 2.2.3 반복문 ♬ 이건 반복문 2.2.4 조건문 ♬ 조건문. age를 ..

[기본 개념]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

1 프레임워크 1.1 프레임워크란? 개발할 때 자주 쓰이는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하여 개발 효율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소프트웨어 환경 1.2 프레임워크의 특징 1) 공통적인 개발 환경 제공 2) 개발 가능한 범위가 정해져 있음 3) IoC(Inversion of Controll) 발생 - 제어의 역전. 프레임워크에서는 개발자가 아닌 프레임워크가 소프트웨어의 흐름을 제어 1.3 대표적인 MVC 프레임 워크 1) Java : Spring https://spring.io/ 2) Python : django https://www.djangoproject.com/ 3) JavaScript : Node.JS / Vue.JS / Angular.JS / Express https://nodejs.org/ko/about/ ..

Programming/기초 2023.03.05

[Github] 기본 사용법

1 Git과 Github의 차이점 - Git : 버전 컨트롤 시스템 (version control system) - Github : 원격 저장소 (remote repository) 2 Github 시작하기 1) 계정 생성 (e-mail 인증 필요) 2) repository 생성 - public : 전체공개 / private : 개인용 3) commit할 폴더에 'git init' 4) brew install git (Mac OS) 5) 토큰 혹은 ssh 인증 3 토큰 발행하기 1) settings 2) developer settings 3) personal access tokens 4) generate new tokens - shell에서 push할 때 토큰키 복사하여 비밀번호 입력란에 입력해야 함 4 ..

[Python] 2주 학습 톺아보기 - 기본 정리

1 시작하기 1.1 Gitbash 다운로드 윈도우만 하면 된다고 함 https://git-scm.com/ 1.2 Python 확장 설치 VSCODE 확장 탭에서 Python 설치 1.3 새 파일 만들기 파일명.py 1.4 실행 우클릭 Python을 터미널에서 실행 2 해보기 2.1 변수 선언 a = 1 b = 3 print(a+b) 실행 결과 : 4 2.2 자료형 a = ['사과', '체리', '복숭아'] print(a[1]) 실행 결과 : 체리 2.3 dictionary a = {'name' : '영수', 'age' : 25} print(a['name']) 실행 결과: 영수 2.4 함수 def hey(): print('히히!') hey() 실행 결과 : 히히! def sum(a,b,c): return ..

Programming/Python 2023.03.03

Visual Studio Code 기본 사용법

1 Visual Studio Code(VSCODE) 1.1 기본 언어 변경 1.1.1 확장탭을 통한 변경 1) VSCODE 확장(Ctrl + Shift + X) 탭 클릭 2) 마켓플레이스에 language를 검색 (혹은 Korean 검색) 3) 설치 후 프로그램 재시작 1.1.2 작업 중 코드블록에서의 변경 1) Ctrl + Shift + P 2) 'Configure Display Language' 검색 3) 설치된 언어 목록 중 변경할 항목 선택 (ex. en / ko ...) 4) 프로그램 재시작 1.2 대/소문자 일괄 변경 1) 변환할 텍스트 선택 2) Ctrl + Shift + P 3) Transform to Lowercase : 모두 소문자로 변환 Transform to Uppercase : 모..

Programming/기초 2023.02.25

[Python] 기초 문법

1 변수와 기본연산 a = 3 3을 a에 넣는다 b = a a를 b에 넣는다 a = a + 1 a+1을 다시 a에 넣는다 num1 = a*b a*b의 값을 num1이라는 변수에 넣는다 num2 = 99 99의 값을 num2이라는 변수에 넣는다 2 자료형 2.1 숫자/문자형 name = 'bob' 변수에는 문자열이 들어갈 수도 있고 num = 12 숫자가 들어갈 수도 있고, is_number = True True / False -> "Boolean"형이 들어갈 수도 있음 2.2 리스트형 (JS 배열형과 동일함) a=['사과','체리','복숭아'] print(a[0]) 실행 결과 : 사과 2.3 Dictionary형 (JS dictionary형과 동일) a= {} a= {'name':'수지','age':30..

Programming/Python 2023.02.23